반응형 정보193 리히터 규모와 모멘트 규모(Mw)의 차이: 지진의 세기를 이해하기 지진은 자연재해 중에서도 그 파괴력이 어마어마하며, 이를 정확히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진의 세기를 표현할 때 흔히 리히터 규모(Richter Scale)와 모멘트 규모(Mw, Moment Magnitude Scale)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 두 가지는 지진의 강도를 측정하는 도구지만, 계산 방식과 적용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히터 규모와 모멘트 규모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모멘트 규모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리히터 규모: 전통적인 지진 측정 방법 리히터 규모는 1935년 미국의 지구물리학자 찰스 리히터(Charles F. Richter)가 개발한 지진 측정 방식입니다. 기본 원리 리히터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지진파의 크기를 측정하여 계산됩니.. 2024. 11. 21. 지진파(P파, S파)의 특징과 이를 통해 얻는 정보 지진이 발생하면 땅이 흔들리는 이유는 지구 내부에서 방출된 에너지가 지진파라는 형태로 퍼지기 때문입니다. 지진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P파(Primary wave)와 S파(Secondary wav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지진파의 특징과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P파(Primary wave): 가장 빠른 지진파 P파는 지진 발생 후 가장 먼저 도달하는 지진파로, “압축파” 또는 “종파”라고도 불립니다. 특징 1. 진동 방향: 매질(지구 내부의 물질)을 따라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며 전파됩니다. 2. 속도: 가장 빠르게 이동하며, 고체, 액체, 기체를 모두 통과할 수 있습니다. 3. 영향: 첫 번째로 느껴지는 작은 진동으로, 사람이 느끼기에 강하지는 않습.. 2024. 11. 21. 지진은 왜 발생할까? 판구조론과 단층의 이해 지진은 지구의 표면이 갑작스럽게 흔들리는 현상으로, 자연재해 중에서도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재해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지진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판구조론과 단층의 원리를 알아야 합니다. 1. 판구조론: 지구는 움직이는 퍼즐 조각 지구의 표면은 판(tectonic plates)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판들은 마치 퍼즐 조각처럼 서로 맞물려 있으며, 지구의 맨틀(내부에서 뜨겁고 유동적인 층) 위에서 천천히 움직이고 있습니다. • 판의 종류와 경계 판이 서로 만나는 경계는 지구 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입니다. 이 경계는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발산형 경계: 판이 서로 멀어지는 지역 (예: 대서양 중앙 해령) 2. 수렴형 경계: 판이 서로 충돌하는 지.. 2024. 11. 21. 아이폰에서 햅틱의 뜻은?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진동이나 터치 피드백이 느껴지는 순간을 경험한 적 있으신가요? 아이폰 사용자라면 특히 “햅틱(Haptic)“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아이폰에서 사용되는 햅틱 기술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햅틱(Haptic)의 뜻 햅틱(Haptic)은 “촉각”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기술을 뜻합니다. 간단히 말해, 디지털 환경에서 물리적인 터치나 감각을 재현해주는 기술입니다. 아이폰에서 햅틱은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거나 특정 작업을 수행했을 때 미세한 진동으로 응답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단순한 진동이 아닌, 섬세하게 설계된 피드백으로 사용자 경험을 더욱 직관적이고 몰입감 있게 만들어줍니다. 2. 아이폰에.. 2024. 11. 1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49 다음 반응형